본문 바로가기

경제,정책,복지

이재명 대통령, G7 정상회의 캐나다 초청 수락(“코리아 이즈 백” 실용외교)

2025년 6월 13일, 대한민국은 캐나다 앨버타주 카나나스키스(Kananaskis)에서 6월 15일부터 17일까지 열리는

제51차 G7 정상회의이재명 대통령이 공식 초청을 받고 참석한다고 외교부 및 대통령실이 밝혔다.

 

📌 1. 초청 배경 및 의미

캐나다는 올해 의장국으로, G7 의장국 권한에 따라 G7 회원국뿐 아니라 글로벌 파트너 국가 정상도 초청할 수 있는 권한

행사했다. 초청 대상에는 대한민국, 사우디, 인도, 멕시코, 브라질,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우크라이나 등이 포함되며,

이 중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대표 최초로 G7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확고한 실용외교의 신호탄이 됐다 .

2. ‘코리아 이즈 백’—국익 중심 실용외교 재개

이재명 대통령의 G7 참석은 국정 혼란 극복과 외교 정상화의 메시지를 세계에 전하는 계기가 된다. 특히 AI·안보·에너지·

디지털 전환 등 주요 글로벌 의제에 대해 한국의 기여를 강조하며, 실용 외교의 시작점으로 평가받는다.

전 국립외교원 교수는 “한미동맹 기반, 한·미·일 협력 강화, 주요국 우호 구축” 전략이 G7 참석으로 공식화되었다고

설명했다.

3. 한미 정상 통화, 첫 정상 외교 시작

취임 3일 만인 6월 6일, 이재명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첫 전화 통화를 갖고 G7 참석과 주요 외교 일정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두 정상은 한미동맹 강화, 관세 논의 조속화, 그리고 이 대통령의 미국 초청 가능성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진다이러한 상호 교감은 G7 현장에서도 한미 비공식 정상회담, 한·미·일 회담 등 다자외교를 위한 사전 기반이

될 전망이다.

4. G7 주요 의제와 한국의 참여 방향

캐나다 의장국은 이번 G7 회의를 통해 세 가지 핵심 목표를 설정했다:

  • 공동 안보 강화: 평화·안보, 국제범죄 대응, 재난 협력
  • 에너지 안보 & 디지털 전환: 공급망 안정, AI·양자경제 활성화
  • 미래 협력 구축: 민간 투자 촉진, 일자리 창출, 인프라 강화.

이 대통령은 AI·반도체·기후·우크라이나 재건 등 분야에서 한국이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는 글로벌 파트너로 부상할 수

있는 전략 준비에 나섰다.

5. 전략적 과제: 친중 이미지 해소·한미일 협력 공조

이 대통령의 실용외교 전략은 미국·일본 등 전통 동맹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G7 참여를 통해 친중·남중국해 전략

이미지를 벗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다 .
또한, G7 다자회의 틀에서 한·미·일 간 정상회담 실현 여부는 향후 한반도 및 지역 전략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

6. 향후 전망 및 기대 효과

  • 정상외교 데뷔: 취임 11일 만의 G7 등장을 통해 국제사회에 다시 ‘한국 정상국가 복귀’ 신호를 강하게 보냄.
  • 공동의제 주도 기회: AI·에너지·디지털·안보 등 글로벌 의제에 대해 한국의 주도적 역할 기대.
  • 한미 외교 협력 모멘텀 확보: G7 계기 한미 전략 채널 복원 및 관세·안보 논의 재개 가능.
  • 외교 다극화 가속: G7 외 국가들과의 다층 외교 병행—우크라·인도·브라질 등과 협력 확대.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