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속 러닝은 느린 속도로 꾸준히 달리는 러닝 방법으로, 일반적인 조깅보다 페이스가 느리며
몸에 무리가 덜 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초보 러너, 부상 회복 중인 러너, 장거리 러닝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일반적으로 1km당 6~8분의 속도로 달리며, 러닝 중 대화가 가능할 정도의
강도로 진행됩니다.

1. 저속 러닝과 일반 러닝의 차이
①운동 강도 : 저속 러닝은 심박수를 최대 심박수의 50~70%로 유지
②운동 지속 시간 : 일반 러닝보다 오랜 시간 지속가능
③부상 위험 : 관절과 근육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어 부상 위험 감소
2. 저속 러닝의 주요 효과
① 심폐 지구력 향상
저속 러닝은 장시간 유산소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심장과 폐 기능을 강화합니다.
이를 통해 장거리 러닝을 준비하는 러너들에게 좋은 기초 체력을 제공합니다.
② 지방 연소 및 체중 감량
저강도 운동은 지방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체지방 연소 효과가 높습니다.
특히, 장시간 운동을 지속하면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③ 부상 위험 감소
속도를 낮추면 무릎, 발목, 허리 등에 가해지는 충격이 줄어들어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
④ 근지구력 향상
하체 근육의 지구력이 길러지며, 장거리 러닝을 위한 기초 체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⑤ 스트레스 해소 및 멘탈 강화
규칙적인 저속 러닝은 엔도르핀 분비를 촉진하여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적 안정 효과를 제공합니다.

3. 저속 러닝의 운동 강도 및 칼로리 소모
저속 러닝의 운동 강도는 최대 심박수의 50~70% 수준이 적절합니다.
속도 (km/h)체중 60kg 기준 (칼로리/30분)체중 70kg 기준 (칼로리/30분)체중 80kg 기준 (칼로리/30분)
6km/h (빠른 걷기 수준) | 150~180 kcal | 180~210 kcal | 200~240 kcal |
8km/h (느린 조깅) | 240~270 kcal | 270~310 kcal | 300~350 kcal |
10km/h (보통 러닝) | 300~350 kcal | 350~400 kcal | 400~450 kcal |
※ 개인의 체중, 체력, 러닝 환경에 따라 소모 칼로리는 다를 수 있습니다.
4. 저속 러닝을 위한 팁
1) 올바른 자세 유지하기
①상체를 곧게 세우고, 어깨의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움직이기
②발뒤꿈치부터 부드럽게 착지하며, 무릎에 부담을 줄이기
2) 적절한 호흡법 사용하기
①코로 들이마시고 입으로 내쉬는 호흡법을 사용하면 호흡 조절하기 쉬워짐
②숨이 차지 않도록 천천히 호흡하며 페이스를 조절
3) 운동 강도를 서서히 높이기
①처음부터 무리한 거리나 속도로 달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운동량 증가시킴
4) 러닝 후 스트레칭 필수
①종아리,허벅지,무릎 주변 근육을 중심으로 충분한 스트레칭을 실시
②근육 피로도를 줄이고 부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됨
5. 저속 러닝이 적합한 대상
① 러닝 초보자: 무리 없이 러닝을 시작할 수 있음
② 부상 위험을 줄이고 싶은 러너: 관절과 근육에 부담이 적음
③ 체중 감량을 원하는 사람: 장시간 지방 연소 효과 극대화
④ 장거리 러너: 마라톤 및 장거리 러닝을 위한 기초 체력 향상

6. 결론
저속 러닝은 심폐 지구력 향상, 지방 연소, 부상 예방, 근지구력 강화,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초보 러너부터 경험자까지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으며, 체중 감량이나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도 효과적인 운동 방법입니다. 일반 러닝에 비해 저속 러닝은 체지방을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데 소모시키는 효과적인 운동 방법입니다. 저속 러닝으로 건강한 몸과 지구력을
길러봐요~~💪
'삶에 도움이 되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주의보~!!! (관리 및 대처방법 알아볼까요?) (67) | 2025.03.10 |
---|---|
포만감 높고 칼로리 낮음 음식 BEST(다이어트 필수~~!!!!) (33) | 2025.03.10 |
(책)환율의 대전환 - 부자들은 왜 달러, 엔, 금에 주목하는가? (43) | 2025.03.08 |
2025년 가상화폐 시장 분석 및 전망(투자전략 포함) (51) | 2025.03.07 |
'한국 여행 유의' 권고 이후 국내 관광산업의 위기론 부상 (4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