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의 관심이 세계적으로 집중되는 시점에 전기차(EV)로의 100% 전환을 서두르다가
하이브리드 방식의 자동차의 병행을 재추진하고 있는게 현 상황이예요.
두 가지 방식의 구성요소와 특징/장단점 등을 알아봐요~
1.하이브리드(HEV)
2.전기차(EV)
3.하이브리드(HEV) 및 전기차(EV) 구성요소
- 하이브리드(HEV) 구성요소 : 내연기관(가솔린 또는 디젤 엔진)
전기모터 및 배터리 장착(소형 리튬이온 또는 니켈-수소 배터리)
변속기(e-CVT 또는 일반 변속기)
회생 제동 시스템(감속 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
- 전기자동차(EV) 구성요소 : 전기모터(고출력 모터 1개 또는 2개이상 장착)
대형 배터리 팩(리튬이온 또는 LFP배터리)
인버터 및 충전시스템, 회생 제동 시스템
단일 변속기(일반적으로 감속 기어박스 형태로 구성)
4.주요 성능 차이점
- 하이브리드(HEV) 주요 성능 : 내연기관+전기모터
내연기관 대비 우수(약 20~25km/L)
주행거리 600~1000km
주유 대기시간 적고, 출력과 가속력은 일반차량과 유사
- 전기차(EV) 주요 성능 : 전기모터 100%
연료비 절감(전기 충전 기준)
300~600km(배터리 용량에 따라 변동)
충전시간 다소 걸림, 즉각적인 토크 제공(강력한 가속 성능)
5.향후 전망
-전기차 시장확대 : 정부 환경 규제 강화와 친환경 정책에 따라서 전기차(EV) 보급이 빠르게 증가
-하이브리드 지속 성장 : 전기차(EV) 충전 인프라가 완전히 갖춰지기 전에 하이브리드(HEV)가 가교 역할을 수행
-배터리 기술 발전 : 전고체 배터리, 고속 충전 기술개발로 전기차의 단점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
-내연기관의 점진적 축소 : 2035년 이후 주요 자동차 제조사는 내연기관 생산 중단을 목표로 추진중
친환경 차량으로 분류되고 있는 하이브리드(HEV)와 전기차(EV)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주 사용목적에 따라서 하이브리드(HEV)와 전기차(EV)의 장단점이 나눠질 것 같아요.
짧은 주행거리와 저속/정속주행이 목적이면 전기차(EV)가 강점이고, 긴 주행거리와 고속/정속주행이 목적이면
하이브리드(HEV)가 좀 더 효율이 좋아요~^^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신기술(IT,자동차,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TV 출시~!!! 삼성전자 vs LG 전자 승자는 누가 될 것 인가? (46) | 2025.03.11 |
---|---|
삼성전자 사운드바 HW-Q990D ☆☆글로벌 1위 리뷰 및 특징☆☆ (44) | 2025.03.11 |
2차 전지 관련주 글로벌 전망과 주가 추이는? (기업별 목표주가 예상) (56) | 2025.03.08 |
(IT기기)높이 조절식 전동 책상(스탠드) (3) | 2025.02.18 |
(IT기기)Hagibis(하기비스) 접이식 마그네틱 스탠드, 아이패드 호환 스탠드 (1)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