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기술(IT,자동차,AI)

하이브리드(HEV)와 전기차(EV) 구성요소와 특징/장단점

친환경 자동차의 관심이 세계적으로 집중되는 시점에 전기차(EV)로의 100% 전환을 서두르다가 

하이브리드 방식의 자동차의 병행을 재추진하고 있는게 현 상황이예요.

두 가지 방식의 구성요소와 특징/장단점 등을 알아봐요~

 

1.하이브리드(HEV)

하이브리드(HEV) 구조도

2.전기차(EV)

전기차(EV) 구조도

 

3.하이브리드(HEV) 및 전기차(EV) 구성요소

 

  - 하이브리드(HEV) 구성요소 : 내연기관(가솔린 또는 디젤 엔진)

                                                   전기모터 및 배터리 장착(소형 리튬이온 또는 니켈-수소 배터리)

                                                   변속기(e-CVT 또는 일반 변속기)

                                                   회생 제동 시스템(감속 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

 

  - 전기자동차(EV) 구성요소    : 전기모터(고출력 모터 1개 또는 2개이상 장착)

                                                   대형 배터리 팩(리튬이온 또는 LFP배터리)

                                                   인버터 및 충전시스템, 회생 제동 시스템

                                                   단일 변속기(일반적으로 감속 기어박스 형태로 구성)

 

4.주요 성능 차이점

 

  - 하이브리드(HEV) 주요 성능 : 내연기관+전기모터

                                                   내연기관 대비 우수(약 20~25km/L)

                                                   주행거리 600~1000km

                                                   주유 대기시간 적고, 출력과 가속력은 일반차량과 유사

   

  - 전기차(EV) 주요 성능           : 전기모터 100% 

                                                    연료비 절감(전기 충전 기준)

                                                    300~600km(배터리 용량에 따라 변동)

                                                    충전시간 다소 걸림, 즉각적인 토크 제공(강력한 가속 성능)

5.향후 전망

 

  -전기차 시장확대 : 정부 환경 규제 강화와 친환경 정책에 따라서 전기차(EV) 보급이 빠르게 증가

  -하이브리드 지속 성장 : 전기차(EV) 충전 인프라가 완전히 갖춰지기 전에 하이브리드(HEV)가 가교 역할을 수행

  -배터리 기술 발전 : 전고체 배터리, 고속 충전 기술개발로 전기차의 단점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

  -내연기관의 점진적 축소 : 2035년 이후 주요 자동차 제조사는 내연기관 생산 중단을 목표로 추진중      

배터리 및 회생제동 관련 이미지

 

친환경 차량으로 분류되고 있는 하이브리드(HEV)와 전기차(EV)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주 사용목적에 따라서 하이브리드(HEV)와 전기차(EV)의 장단점이 나눠질 것 같아요.

짧은 주행거리와 저속/정속주행이 목적이면 전기차(EV)가 강점이고, 긴 주행거리와 고속/정속주행이 목적이면

하이브리드(HEV)가 좀 더 효율이 좋아요~^^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