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비전 2030’ 속도…신성장 5대 산업 선정
2025년 7월 3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비전 2030’의 핵심 전략으로 국부펀드(PIF)를 통해 1조 리얄
(약 2,670억 달러)을 5대 신성장 산업에 투자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석유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미래 산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대규모 계획이다.
사우디 정부가 선정한 5대 신성장 분야는 ▲수소 에너지 ▲인공지능(AI) ▲스마트 농업 ▲바이오 헬스케어 ▲관광 산업이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발표문에서 “석유 이후 시대를 준비하는 데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며 “사우디 경제를
친환경, 기술 기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수소·AI·바이오로 ‘녹색+디지털 경제’ 구현
이번 투자에서 가장 비중이 큰 분야는 수소 에너지다. 사우디는 풍부한 태양광과 풍력 자원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의
‘그린 수소’ 생산국으로 부상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미 네옴(NEOM) 스마트시티에서 대규모 수소 플랜트가 건설 중이며,
추가로 300억 리얄을 투입해 생산과 수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AI와 스마트 농업에 대한 투자도 주목된다. 사우디는 농업의 자동화와 수자원 절약을 위해 AI 기반 스마트팜 시스템을
전국에 보급하고, 기계학습을 활용한 산업 혁신을 추진한다. 의료와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 유전자 치료,
의료관광 산업을 활성화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관광 대국 도약…비석유 외화 수입원 확보
관광 산업 역시 이번 계획의 핵심 축 중 하나다. 사우디는 홍해 연안과 유적지를 중심으로 럭셔리 리조트, 역사 유적지 복원,
종교 관광(메카·메디나) 확대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연간 관광객 1억 명을 목표로 세웠다. 이를 통해 석유에 의존하던
외화 수입 구조를 다변화하고, 청년층 일자리를 대거 창출할 계획이다.
관광부 장관은 “관광은 고용 창출 효과가 크고, 여성과 청년의 경제 참여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OPEC 내부 긴장 고조…“석유 감산 정책에 변수”
사우디의 이번 발표는 석유 시장에도 상당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내부에서는 사우디가
장기적으로 석유 생산량을 줄이거나 수출 비중을 축소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석유 수입에 의존도가
높은 나이지리아, 이란, 베네수엘라 등은 “OPEC의 감산 정책과 가격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사우디가 기존 석유 공급을 유지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석유 생산 축소와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OPEC 내부 협조 체제에도 긴장이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 평가: ‘석유 이후 시대’의 분수령
에너지 전환 전문가들은 이번 사우디의 발표를 “석유 이후 시대를 대비하는 분수령”으로 평가한다. 다만 성공적인 전환을
위해선 민간 투자 유치, 고급 인력 양성, 제도적 정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리야드 소재 한 싱크탱크는
보고서를 통해 “석유 의존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술 이전, 교육 혁신, 해외 시장과의 연계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사우디가 이번 계획을 흔들림 없이 추진할 경우, 세계 에너지 패권 지형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수소 시장과 AI
산업에서의 사우디 역할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결론: 미래를 향한 대담한 도전
사우디아라비아의 1조 리얄 투자 계획은 ‘석유 왕국’의 이미지를 넘어 새로운 경제 대국으로 도약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다만, 변화가 빠르고 복잡한 만큼 철저한 준비와 국제적 협력이 필수적이다. 세계는 이제 사우디가 탈석유 시대의
성공 모델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경제,정책,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특별자치도, ‘탄소중립 섬’ 전환 2단계 계획 발표(2035년 목표) (33) | 2025.07.05 |
---|---|
미 연준, 기준금리 5.25~5.50%로 동결…“물가 둔화세 더 확인 필요” (37) | 2025.07.04 |
국토부, ‘광역 메가버스’ 시범 노선 5개 발표…수도권-서울 통근 혁신 신호탄 (35) | 2025.07.04 |
제주도, ‘특별자치 분권 2.0’ 추진안 발표!! “대한민국 분권정책 새 모델” (57) | 2025.07.02 |
국회, ‘플랫폼 노동기본법’ 입법 예고? 디지털 노동시장 새 기준 제시? (42)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