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가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공익활동의 의미를 가치와 자연스럽게 체감할 수 있도록 돕는
2025년 신규 프로그램 2종을 새롭게 운영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공익 입문자를 위한 현장체험학습과 시민강연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공익활동에 대한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 지 모르는 시민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공익활동의 첫걸음, 쉽게 체험하고 배운다
신규 프로그램은 아래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 공익활동 현장체험학습
- 프로그램명: 공익희와 함께하는 착한 변화 만들기 - 아하! 공익활동, 어린이와 청소년이 만드는 세상
- 대상: 어린이 및 청소년
- 내용: 공익의 개념, 실천 방법, 국내외 청소년 주도의 변화 사례 등을 중심으로 참여형 전시 콘텐츠와 현장중심 교육이 결합된 체험형 프로그램
- 모집 시기: 4월 말부터
- 진행 시기: 5월부터 본격 운영
- 시민강연 프로그램
- 프로그램명: 퇴근길 공익활동 - 삼각지 강연
- 주제: "어쩌다 한번쯤은… 공익활동?!"
- 대상: 공익활동에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 운영 기간:
- 시즌1: 4월 ~ 6월
- 시즌2: 8월 ~ 10월
- 운영 일정: 매월 넷째 주 수요일, 총 6회 진행
- 신청 방법: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홈페이지(www.seoulpa.kr) 통해 사전 신청 가능
- 참여 인원: 회차별 50명 내외 모집
첫 강연, 여행작가 김남희의 ‘공익과 여행의 접점’
4월 23일에 열리는 삼각지 강연의 첫 회차는 《길 위에서 읽는 시》의 저자이자 유명 여행작가인 김남희 작가가
강연자로 나섭니다. 주제는 ‘활동하듯 여행하기, 여행하듯 활동하기 - 낯선 사람의 친절에 기대어’로, 일상 속에서
마주한 공익적 실천과 여행을 연결 짓는 감성적이고 실용적인 이야기를 전할 예정입니다.
이후 시즌1 강연에는 음악작가 배순탁(5월), 신이어마켙 심현보 대표(6월) 등이 참여하여 문화, 음악, 사회참여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공익활동 사례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청소년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미래 세대 참여 이끈다
청소년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단순한 강의 중심 교육이 아닌 실질적인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공익활동의 개념을보다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특히 ‘청소년이 주도하는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된 전시형 콘텐츠는 또래의 시각에서
공익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은 단순 수동적 학습이 아닌 능동적인
참여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무료 프로그램, 누구나 쉽게 참여 가능
이번 신규 프로그램은 모두 무료로 운영되며, 공익활동에 처음 접하는 시민도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는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하며, “공익은 거창하거나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일상의 작은 실천에서 출발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공익이라는 단어가 낯설게 느껴졌던 시민들도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공익의 가치와 실천 가능성을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시민 참여 기반의 공익 생태계 구축 나선다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공익’이라는 키워드를 발견하고 실천으로
이어가는 연결고리를 만들고자 합니다.
공익활동을 어렵게 느끼는 이들을 위한 입문형 콘텐츠는 공익 참여 장벽을 낮추고, 시민 주도의 공익활동 생태계를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는 “시민들이 공익을 이해하고 체험하며, 나와 사회를 돌아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꾸준히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라며, 많은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습니다.
'경제,정책,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분쟁 조정 환자대변인 제도란 무엇인가? (43) | 2025.04.15 |
---|---|
발달장애인 자립을 위한 비전공유 '반딧불 기금' ??? (63) | 2025.04.13 |
'2025 라이트업! 키즈레이스' 개최~ (결식 아동에게 희망을) (39) | 2025.04.12 |
하나은행 '하나 파워 온 스토어' 전국 3,500개 소상공인 지원사업?? (47) | 2025.04.11 |
경북,경남 산불 피해지역 긴급구호물품 5차례 지원(전국푸드뱅크) (64)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