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미국 정부가 스틸 및 알루미늄을 주요 소재로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보다 더 확대
적용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처음 도입된 50% 고율 관세 정책의 연장선으로,
바이든 행정부가 이를 유지 및 강화하는 형태로 이어가고 있다.
관세 확대 대상에는 냉장고, 세탁기, 식기세척기, 오븐 등 대형 가전제품이 포함되며, 특히 중국, 한국, 멕시코, 베트남 등
주요 수입국 제품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상무부는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
보호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국내 제조업 일자리 보존과 공급망 자립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소비자 가격 상승 우려…인플레이션 압박 재점화
그러나 업계와 소비자 단체는 즉각 반발했다. 미국소비자연맹(CFA)은 이번 조치로 인해 대형 가전제품 가격이 평균
10~15% 상승할 수 있다며, 저소득층과 신혼부부 등 취약 소비계층의 부담이 급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최근 미국 내에서 인플레이션이 다소 진정 기미를 보이는 상황에서 이런 관세 확대는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을
다시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전문가들은 “가전제품은 주택 구입·이사 등과 연관성이 큰 소비재이기 때문에
부동산·내구재 시장에도 부정적 파급 효과가 예상된다”고 지적한다.
🏭 산업계 반응…“가격 경쟁력 상실 우려”
미국 내 유통업계 및 가전 수입 업체들은 대체 공급처 확보와 가격 조정 문제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월마트,
베스트바이 등 주요 유통망은 가격 인상 시기 및 폭을 검토 중이며, 일부 브랜드는 공급량 조절을 예고한 상태다.
한국과 중국 등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현지 생산 확대 또는 가격전략 재조정을 통해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한국산 프리미엄 가전 제품의 경우, 디자인·기술 경쟁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은 매출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보호무역 vs 공급망 안정화, 정책 논란 지속
이번 조치는 미국의 ‘Buy American’ 정책 기조에 따른 것이지만, 일부 경제학자들은 글로벌 공급망을 오히려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한다. 철강·알루미늄 보호를 명분으로 한 관세 강화는 글로벌 무역갈등의 불씨가 되며, WTO 제소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중국과의 무역 전쟁 재점화 가능성, 그리고 멕시코 및 한국과의 FTA 재협상 이슈와도
연계되며, 2025년 미국 대선 정국과도 맞물려 정치적 논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경제,정책,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배당 ETF 자산 1년 만에 8조 원 이상 급증? 고령층 월수입 대체 투자처? (44) | 2025.06.26 |
---|---|
🧓 고령사회 대응 본격화…시니어 금융·건강 지원 정책 속속 확대 (58) | 2025.06.25 |
美 증시, ‘변동성 장세’ 예고? FOMC 발언·소비자신뢰·AI 뉴스가 변수 (35) | 2025.06.24 |
IEEFA “한국의 미국산 LNG 수입 전략, 재검토 필요”(탈탄소 시대?) (38) | 2025.06.24 |
이란 의회, 호르무즈 해협 봉쇄 결의…글로벌 원유 공급망 ‘초비상’ (55)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