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에 도움이 되는 지식

대한민국식품명인 신규 공모 시작? < 전통식품 계승 위한 지원 강화>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맥을 잇고 계승 발전시킬 식품 장인을 발굴하기 위해,

오는 2025년 5월 9일부터 6월 27일까지 ‘대한민국식품명인’ 공모를 추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모는 전국의 전통식품 제조·가공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과 경륜을 보유한 장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전통식품 문화의 보존과 대중화를 도모하기 위한 정부의 핵심 정책 중 하나로 꼽힙니다.

 

대한민국식품명인 신규 공모 관련 이미지

🍚 대한민국식품명인이란?

대한민국식품명인 제도는 199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우리나라 고유의 식품 제조·가공기술을 보유한 전문가를 발굴하여

국가가 인증하고 보존하는 제도입니다.

현재까지 총 84명의 명인이 지정되어 있으며, 이들은 전통 장류(된장·간장·고추장), 김치, 전통주, 엿, 한과, 젓갈, 식초,

곶감 등 다양한 전통 식품 분야에서 활동 중입니다.

📌 2025 공모 개요

  • 공모 기간: 2025년 5월 9일(목) ~ 6월 27일(금)
  • 신청 대상: 전통식품 제조·가공 분야에서 20년 이상 경력을 보유한 개인 또는 법인
  • 우대사항:
    • 전통기술 전수 실적
    • 지역 전통문화 기여도
    • 친환경 원료 사용 여부

🧾 신청 방법 및 절차

지원자는 관련 서류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시·군·구)를 경유해 농식품부에 신청해야 하며, 이후 서류 심사 및 현장 실사,

전문가 심의 등을 거쳐 최종 선정됩니다.

선정된 식품명인은 농식품부 장관 명의의 지정서 수여, 기술 전수 지원, 홍보 및 유통 판로 확대 등 다양한 혜택을 받게 됩니다.

🎯 공모 목적과 정책 방향

이번 공모는 단순한 기술 보유자를 찾는 것을 넘어, 전통식품 산업화, 세계화, 세대 간 전승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전략입니다.

농식품부는 이번 공모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 목표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 전통식품의 산업적 가치 제고
  • 지역 농산물 소비 촉진과 농촌 경제 활성화
  • 청년세대의 전통기술 전수 유도
  • K-푸드의 글로벌 브랜드화 기반 마련

🌍 대한민국 전통식품, 세계로 뻗어간다

대한민국식품명인으로 지정되면 국내외 각종 박람회 및 전시회 참가 기회가 제공되며, 농식품 수출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해 글로벌 K-푸드 시장 진출도 가능해집니다. 실제로 몇몇 명인 제품은 미국, 유럽, 동남아 등의 프리미엄 마켓에

입점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마무리 및 참여 권장

농림축산식품부는 “전통식품은 단순한 먹거리를 넘어 우리의 정체성과 문화를 담은 자산”이라며, “경험과 기술을 보유한

장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관심 있는 전통식품 제조자는 해당 기간 내에 신청을 완료하고, 대한민국식품명인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www.mafra.go.kr) 또는 지역 지자체 산업경제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