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책,복지

대한민국, OECD 각료이사회 참석(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협력 강조!!)

2025년 6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각료이사회(Ministerial Council Meeting, MCM)에

대한민국 정부 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노건기 통상교섭실장이 참석하였습니다. 이번 회의는 공급망 재편,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인공지능(AI) 거버넌스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각국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장으로, 대한민국은 공급망 안정화와

포용적 무역환경 조성에 중심적인 메시지를 전파했습니다.

 

📌 OECD 각료이사회란?

OECD 각료이사회는 매년 개최되며, 회원국 및 초청국의 장관급 인사가 모여 국제 경제 및 무역 정책 방향을 조율하는

최고 수준의 협의체입니다. 2025년 회의는 "Resilience and Partnership: Building an Inclusive and Sustainable

Future"를 주제로 개최되었으며, 38개 회원국 및 유럽연합(EU)이 참여하였습니다.

🇰🇷 대한민국의 메시지: 공급망 협력과 디지털 포용

노건기 실장은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1. 공급망 복원력 강화를 위한 국제 공조 필요성
    • 반도체, 배터리, 핵심 광물 등 전략적 품목의 공급 안정성 확보
    • 공급망 위기 대응 정보 공유 및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제안
  2. 디지털 경제와 포용적 무역환경
    • 인공지능, 데이터 교역에 대한 글로벌 규범 마련 필요성 언급
    • 중소기업과 개도국의 디지털 격차 해소 위한 기술 지원 강조
  3. 친환경 전환과 무역의 조화
    •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한 산업전환을 위한 탄소국경세 등 조치의 공정성 필요

대한민국은 디지털·녹색 전환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며 규범 형성과 기술 공유를 통한 글로벌 연대 강화

지지하고 있습니다.

🏛 국제 반응 및 파트너십 논의

이번 회의에서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캐나다 등과 다자간 또는 양자간 회담이 병행 진행되었습니다. 노 실장은 일본과의

회담에서 한일 첨단산업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 EU와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따른 대응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특히, 한국은 OECD 내 디지털 무역, AI, 공급망 관련 의제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로서 협력 중심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OECD는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급망 안정화와 디지털 규범 정립에 있어 구체적인 정책 권고안 및 공동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이를 기반으로 국내 산업정책에도 반영하여, 무역의 지속가능성·안정성·포용성

확보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 결론

대한민국은 2025년 OECD 각료이사회 참석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화, 디지털 전환의 포용성, 지속가능한 무역 질서

구축을 위한 국제 연대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교적 행보는 국가 산업 경쟁력과 글로벌

규범 형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중요한 국제 무대 활동이며, 향후 민간 산업계와의 정책 연계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