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책,복지

🚌 서울시, '심야버스 확대' 시범운영? 10개 노선 대상 교통 실험 본격화

24시~05시 운행…시민 이동권 보장 및 심야경제 활성화 기대

2025년 6월 28일, 서울시가 기존의 ‘올빼미버스’로 불리는 심야버스 운영을 대폭 확대하는 시범사업에 돌입했다. 이번 확대

운영은 총 10개 노선을 대상으로 하며, 심야 시간대인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운행된다. 시는 이번 실험을 통해 시민들의

야간 이동권 보장, 교통 사각지대 해소, 심야경제 활성화 등의 다층적 효과를 검증할 계획이다.

 

서울시, '심야버스 확대' 시범운영 관련 이미지

🕛 기존 심야버스 6개 노선 → 10개 노선으로 확장

서울시는 현재까지 N26, N37, N61 등 6개 노선의 심야버스를 운영해 왔으나, 시민 수요 증가와 안전 귀가 대책 요구에 따라

이번에 4개 노선을 추가 도입했다. 주요 신규 노선은 강남-잠실, 홍대-상암, 마포-광화문, 금천-신도림심야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도시철도 운행이 종료된 이후의 교통 공백 시간을 메우는 역할을 하게 된다.

🚏 시범운영 구간 및 노선별 특징

  • N15: 강남역 ↔ 잠실역 (한강 동부권 중심)
  • N24: 신촌 ↔ 상암DMC (청년 밀집지역 중심)
  • N33: 마포구청 ↔ 광화문 (업무지구 귀가 수요 대응)
  • N42: 가산디지털단지 ↔ 신도림 (남서부 제조업·근로자 지역 대상)

이 외에도 기존 노선의 배차 간격 단축, 차량 증차 등을 통해 혼잡 완화 및 안전 확보도 병행 추진된다.

📈 시민 여론과 정책 배경

서울시 도시교통실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심야 시간대 대중교통 불만 민원이 37% 증가했다. 특히 택시 공급 부족, 호출요금

부담 등으로 인해 야간 이동권 불균형 문제가 심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24시 도시 서울’ 조성을 위한 정책으로

이번 사업이 기획되었다. 시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78%가 심야버스 확대에 찬성했으며, 특히 청년층,

근로자, 심야 아르바이트 노동자의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택시 수요와 겹치지 않도록 노선 및 시간대를 전략적으로

분산함으로써 교통 분담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 전문가 분석: “심야경제·도시안전 활성화의 마중물 될 것”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심야버스 확대는 단순한 교통정책을 넘어, 도시 전반의 ‘야간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촉매제 역할

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야간 관광, 공연, 24시간 카페·편의점 산업 등과 연계될 경우, 서울의 심야경제 규모가 5년 내 2배

이상 확대될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더불어 야간 귀가 중 발생하는 범죄 예방, 특히 여성 귀가자 보호 측면에서도

‘밝은 버스’ 시스템, CCTV 강화 차량 도입 등이 함께 추진될 예정이다.

🏛️ 향후 계획 및 과제

서울시는 시범운영 성과를 분석한 후, 2026년부터 정식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향후 운영 노선의 확대, 버스-지하철

연계 시각 조정, 민간사업자 협력모델 도입도 검토 중이다. 다만 심야 시간대 운전기사 수급, 운영 수지 적자 보전 문제 등은

정책적 고민거리로 남아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이 교통 복지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시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728x90
반응형
LIST